자격증/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실기] 디지털 저작권 관리

개발..너... 2024. 7. 11. 16:18
디지털 저작권 관리란?

 

  • 저작권자가 배포한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자의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유통, 이용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보호 기술이다.
  • 예시로 멜론 사이트에서 음악 스트리밍을 할 때 음악 MP3 파일을 DRM 다운로드하는 게 있었는데 여기서 DRM이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파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권 관리 시스템이다. DRM 다운로드 한 MP3 파일은 해당 기기, 해당 사용자에 한해서 사용이 가능하고 타인에게 공유가 불가능하거나 공유 시 사용자 인증이 제대로 안 되는 것을 감지해 MP3 파일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구성 요소, 흐름도

 

  • 클리어링 하우스(Clearing House): 저작권에 대한 사용 권한(디지털 저작권 라이선싱 중개) , 라이선스 발급, 사용량에 따른 관리 등을 수행하는 곳
  •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콘텐츠를 제공하는 저작권자
  • 패키저(Packager): 콘텐츠를 메타 데이터(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설명하는 데이터)와 함께 배포 가능한 형태로 묶어 암호화하는 프로그램
  • 콘텐츠 분배자(Contents Distributor): 암호화된 콘텐츠를 유통하는 곳이나 사람 - ex) 멜론
  • 콘텐츠 소비자(Customer): 콘텐츠를 구매해서 사용하는 주체 - ex) 멜론 이용자
  • DRM 컨트롤러(DRM Controller): 배포된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통제하는 프로그램 - ex) 멜론 플레이어
  • 보안 컨테이너(Security Container): 콘텐츠 원본을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한 전자적 보안 장치

 

 

출처 : https://devinus.tistory.com/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