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실기] 마크업언어(JSON, xml)

▶ 마크업 언어

마크업 언어 태그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의 한 가지이다.

 

▶ html

텍스트 데이터 형식으로 유니코드를 사용해 전 세계 언어를 지원한다.

 

▶  xml

-. HTML의 단점을 보완한 인터넷 언어, SGML의 단순화된 부분집합으로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

-. 텍스트 데이터 형식으로 유니코드를 사용하며 전세계 언어를 지원한다. 

-. 다른 종류의 시스템, 특히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들끼리 데이터를 쉽게 주고받을 수 있게 하여 html 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  yaml

-. 직렬화언어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속성-값 쌍" 또는 “키-값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오브젝트를 전달하기 위해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이다.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의 특징

1)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  비동기적으로 XML 데이터를 교환하고 조작하기 위한 기술, XMLHttpRequest 객체를 이용해 전체 페이지를 새로 로드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로드한다.

 

2) 언어 독립형 데이터 포맷(단순히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현방법)으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

 

3) 사람이 읽고 쓰기에 쉬우며, 기계가 분석하고 생성하기에 용이

 

4) 최근에는 xml을 대체해서 데이터 전송등에 많이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