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Etc

POSTMAN

postman이란?

API 개발을 보다 빠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테스트 결과를 공유하며 API개발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플랫폼이다.

 

POSTMAN이 나오게 된 이유

post의 경우 html 클라이언트에서 form, 버튼, 이벤트, 이벤트 등록, 등등등... 백엔드를 구현하기 전 우선 만들어져야 하는 것들이 있다. 그럼 백엔드가 프론트엔드가 구현되기를 기다려야하는 상황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postman 탄생되었다.

 

POSTMAN 메뉴 설명

 

  1. Collections : 요청할 api들을 만들고 관리하는 공간
  2. APIs : 포스트맨에 정의된 컬렉션 및 환경 변수, Mock Servers를 버전 별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
  3. Environments : api에서 사용할 환경 변수들을 관리하는 공간
  4. Mock Servers : 요청할 api가 준비되어 있지 않을 때 가짜 api를 만들 수 있다.
  5. Monitors : 컬렉션을 스케쥴 예약으로 실행시키면서 컬렉션 내에 api호출을 모니터할 수 있는 기능
  6. Flows : 요청을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실제 프로세스를 테스트하는 데 도움을 줌
  7. History : api 호출에 대한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

POSTMAN 요청과 요청의 매개변수

 

POSTMAN 매개변수에서 param요청을 주는 방법이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파일 또는 문자열을 제공함으로써 정보를 제공하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무엇을 검색할지 알려주던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알려주어야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는 parameter 뒤에 ?키=값 의 형태로 서버에 정보를 제공해주며 이를 POSTMAN에서 여러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보내기라고 한다.

 

POSTMAN 사용 전 알아야할 것들

 

REST API

 

API부터 하나씩 설명해보자. 우리는 어떤 기계를 만들 때 사용자가 이 기계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의 마우스 혹은 TV의 리모컨과 같은 어떠한 존재를 만들어야한다. 즉, 기계와 클라이언트가 소통할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어야한다는 것인데 서버와 서버사이에서도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API이다.

 

이러한 API의 개요를 받아 RESTAPI를 설명하면 즉, 정보들이 주고받아지는데에 있어서 개발자들 사이에 널리 쓰이는 일종의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기술이나 제품이 아니라 형식이기때문에 어떤 프레임워크를 쓰든, 프로그래밍 언어를 쓰든 이 폼에 맞춰서 기능만 만들어 내면된다.

 

RESTAPI의 규칙은 HTTP 요청을 보낼 떄 어떤 URI에 어떤 메서드를 사용할지를 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밑의 4가지를 지키며 URL의 정보를 보내면 RESTAPI를 사용한 개발이라 할 수 있다.

 

  • GET) READ 조회하는데에 사용한다.
  • POST) 새로운 정보를 추가할 때 사용한다.
  • PUT) 정보를 통채로 갈아끼울 때 사용
  • PATCH)정보 중 일부를 특정 형식으로 변경할 때 사용

사실 RESTAPI형식을 지키지 않고 메서드 명을 마음대로 만들어 사용을 해도 서버는 큰 문제없이 잘 돌아간다. 그러나 개발은 결국 협업이 중요한 업무로서 다른 개발자가 해당 서버 URL을 보고 혼란을 일으킬 수 있기에 서로의 명확한 이해와 복잡한 코드 분석으로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막기위해 개발자들 사이에 널리 지켜지는 약속이다.

 

 

GET&POST

https://songg5453.tistory.com/143?category=1026438

 

 

TOKEN

https://velog.io/@cada/토근-기반-인증에서-bearer는-무엇일까

 

 

**Reference

https://blckchainetc.tistory.com/278

https://jokerkwu.tistory.com/194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manderg&logNo=220474156716

https://www.youtube.com/watch?v=iOueE9AXDQQ